본문 바로가기
writing as tips

한국인이 자주 헷갈리는 영어 동사 구분 6가지

by 언올차 2025. 4. 17.

한국인이 자주 헷갈리는 영어 동사 구분 6가지

영어 공부를 하면서 "분명히 문법은 맞췄는데 어딘가 어색하다"는 느낌을 받은 적 있으신가요? 특히 동사는 한국어와 영어의 표현 방식 차이 때문에 자주 실수하게 되는 부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자주 헷갈리는 동사 6가지를 정리해봤습니다.

1. Go / Come – 가다 / 오다 혼동

문제점:
한국어에서 "가다"와 "오다"는 말하는 사람의 위치와 상관없이 사용되지만, 영어에서는 화자 또는 청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go와 come을 구분해야 합니다.

잘못된 예:
Can I go to your house?

자연스러운 표현:
Can I come to your house?

정리:
Go = 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Come = 나 또는 상대방 쪽으로 오는 방향

 


2. Lend / Borrow – 빌려주다 / 빌리다 혼동

문제점:
한국어의 "빌리다"는 두 가지 상황(빌려주다 / 빌리다)에 모두 사용되지만, 영어에서는 역할에 따라 동사를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잘못된 예:
Can you borrow me your pen?

자연스러운 표현:
Can you lend me your pen?

정리:
Lend = 내가 남에게 빌려주는 것
Borrow = 내가 남에게서 빌리는 것

 


3. Say / Tell – 말하다 구분 오류

문제점:
한국어에서는 모두 "말하다"로 표현되지만, 영어에서는 누구에게 말하는지에 따라 동사를 다르게 써야 합니다.

잘못된 예:
He said me the answer.

자연스러운 표현:
He told me the answer.
He said the answer to me.

정리:
Say + 내용 (to 사람)
Tell + 사람 + 내용

 


4. Raise / Rise – 올리다 / 오르다 혼동

문제점:
두 동사는 모두 "오르다"와 관련 있지만, 누가 동작을 하는지에 따라 동사를 구분해야 합니다.

잘못된 예:
The price has raised a lot.

자연스러운 표현:
The price has risen a lot.

정리:
Raise = ~을 올리다 (타동사, 목적어 필요)
Rise = 스스로 오르다 (자동사, 목적어 없음)

추가 예문:
She raised her hand.
The sun rises in the east.

 


5. Look / See / Watch – 보다의 종류 구분 실수

문제점:
한국어로는 모두 "보다"로 해석되지만, 영어에서는 의도성, 집중도, 시간에 따라 동사가 달라집니다.

잘못된 예:
I looked a movie last night.

자연스러운 표현:
I watched a movie last night.

정리:

동사 의미 사용 상황
See 보이다, 우연히 보다 무심코 보는 것 (시력 작용)
Look (at) 의도적으로 쳐다보다 잠깐 집중해서 볼 때
Watch 지켜보다, 감상하다 영화, 경기 등 움직임 있는 것을 지속적으로 볼 때

예문:
I saw him at the station.
Please look at this photo.
I watched the football match.

 


6. Do / Make – 하다 / 만들다의 개념 혼동

문제점:
한국어에서는 "하다"라는 단어로 대부분의 동작을 표현하지만, 영어에서는 행동인지 창조인지에 따라 다르게 사용해야 합니다.

잘못된 예:
I did a mistake.

자연스러운 표현:
I made a mistake.

정리:
Do = 일반적인 일이나 활동 (숙제, 업무, 가사 등)
Make =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행위 (결과물 존재)

예문:
I did my homework.
She made a cake.
He made a decision.

 


영어 동사는 비슷해 보여도 미묘한 차이가 많기 때문에 문장 속에서 자주 연습하고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 소개한 6가지 동사만 정확히 익혀도 훨씬 자연스럽고 명확한 영어 표현이 가능해져요!

반응형